본문 바로가기
중국여행

서안

by China112 2025. 2. 4.

1. 서안소개

서안(西安)은 섬서성(陕西省)에 속한 시()인데 우리에게 별칭인 장안(长安)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장안은 역사적으로 중국의 수도의 대명사로 우리가 중국지도만 봐도 가장 중심이 되는 지역이다. 그래서 역대로 이곳을 수도로 정하고 중국을 지배했다.

그래서 서안은 역사적인 유적지가 많은 도시로써 중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꼭 가봐야할 코스이다.

 

2. 관광지

2-1 진시황릉(秦始皇陵)

진시황릉은 섬서성 서안시 림동구 동쪽 3.5km 지점의 리산(骊山) 북쪽 기슭에 위치해 있습니다. 진시황릉은 진왕정(秦王政) 원년(BC246)부터 진2(秦二世)(BC208)까지 조성되었습니다. 진시황릉은 중국 역사상 최초의 봉건 황제인 영정(嬴政)의 능으로, 현존하는 묘의 봉토 높이는 40미터입니다. 능원(陵园)의 배치는 진나라 수도(秦都)인 함양(咸阳)을 모방하여 내외 두 도시로 나뉘며, 내성의 둘레는 약 2.5km, 외성의 둘레는 약 6.3km입니다.

또 진시황제릉 박물원(秦始皇帝陵博物院)은 진시황을 주제로 한 박물관입니다. 이 박물관은 진시황와 그의 능묘의 역사와 문화를 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진흙과 찰흙으로 만든 도용(陶俑), 병마용(兵马俑), 차마용(车马俑) 등 정교한 부장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박물관은 또한 진시황제가 춘추전국시대에 각각 군웅할거하던 한(), (), (), (), (), () 여섯 나라를 통일하고 진()나라를 건국한 역사를 전시했습니다.

진시황릉

2-2 병마용(兵马俑)

병마용갱(兵馬俑坑)은 중국 섬서성 서안시 진시황릉에서 1km가량 떨어진 유적지로 영락장생(永樂長生)을 꿈꾸며 불로초(不老草)를 구하기 위해 선남선녀를 보냈던 진시황 사후 세계를 위한 호위군대로써 흙을 구워 만든 수 많은 병사, 말 등 모형이 있는 갱도이다.

1974년 농민이 우물을 파다가 우연히 발견해 지금까지 4개 갱도를 발견했다. 병마용은 진시황릉 박물관의 일부입니다. 병사는 키가 큰 편이며, 장군을 병사보다 크게 만들었다. 병마용은 전사, 전차, , 장교, 병사 등 다양한 사람과 사물을 표현하고 있다. 발굴한 4개 갱도 중 3곳에 모두 8천여 점의 병사와 130개의 전차, 520점의 말이 있다고 추정하며, 아직도 발굴하지 않은 상당수가 흙 속에 묻혀 있다

병마용

2-3 화청지(華淸池)

중국 섬서성 시안시의 동쪽 35km 떨어진 '여산' 아래에 위치한 곳으로, 북으로는 위수(渭水)를 마주하고 있다. 당 현종이 중국 당대 4대미인 양귀비(楊貴妃)에게 지어준 '해당탕(海棠湯)'이 있는 곳이며 이때 당나라 전성기를 맞게 된다. 이 지역에서는 보기 드문 온천이 있어서, 43도의 온천수가 샘 솟는다. 온천이 드문 지역이다 보니 3,000년 전인 주()나라 때부터 그 역사가 거슬러 올라간다. ()나라 때는 '여궁', 진나라 때는 '여산탕', ()나라 때는 '이궁'으로 당()나라 때는 '화청궁(華淸宮)'으로 불렸다.

그러나 당 현종 말기 안록산의 난이 일어나 화청지는 대부분 불타고 후에 청나라와 중국 정부에서 일부만 복원하는데 그쳤다

화청지

2-4 서안성벽(西安城墙)

시안 성벽은 중국에서 현존하는 규모가 가장 크고 보존이 가장 완전한 고대 성벽 중 하나로, 1차 전국 중점 문물 보호 단위이자 국가 AAAAA급 관광지이며, 1차 전국 중점 문물 보호 단위 중 유일한 성벽 건축물입니다. 넓은 의미의 서안 성벽은 서안 당()성벽과 서안 명()성벽을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 좁은 의미의 서안 명()성벽을 특별히 지칭합니다. 서안 명()성벽은 섬서성 서안시 중심부에 위치해 있다.

서안성벽

3. 여행일정표(3박4일)

제1일차: 서울출발/서안도착 

제2일차: 전일 진시황릉,병마용 관광

제3일차: 오전 화청지,오후 서안성곽 관광

제4일차: 서안출발/인천도착   

 

4. 항공

대한항공,아시아나 항공,동방항공에서 운항하는 인천-서안(XIAN)행 항공편이 매일 3차례 활발하게 운항하고 있다.

 

'중국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산  (0) 2025.02.04
제남  (0) 2025.02.04
구채구  (2) 2025.02.03
경박호  (0) 2025.02.03
하얼빈  (1) 2025.02.03